본문 바로가기

eUro매거진/건강하게 살자

수면중 10초이상 호흡정지, 수면무호흡 원인

수면중 10초이상 호흡정지, 수면무호흡 원인

 

수면 무호흡이란 야간 수면 중에 10초이상 호흡정지가 나타나는 상태로, 유소아나 건강한 성인에도 나타나는

수면 중 호흡장애의 하나입니다. 이 상태가 7시간의 수면 중에 30회 이상 계속되거나 비렘(non-REM)

수면시에도 나타나는 경우는 수면무호흡증후군이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은 폐쇄형과 중추형 두가지로 나뉩니다.

 

폐쇄형.

숨을 쉬려고 노력하는데도 기도가 막혀 숨을 못쉬는 경우로 대부분 환자가 폐쇄형에 속하고 코를 심하게 고는 편입니다. 기도가 막히는 원인은 연구개가 크거나 편도선과 목젖이 커서 공기가 공기가 지나는 길인 기도가 좁아져 막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잠을 잘 때에는 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져서 늘어지기 때문에 기도가 막히기 쉽고, 수면중에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중추형.

호흡을 조절하는 뇌간이 뇌졸중, 감염 등에 의해 손상됐을 때 발생하는 증세로 드물게 나타난다. 비만이거나 편도, 혀가 큰 경우 기도에 연부조직이 너무 많아 발생하는 폐쇄형이 전체적의 95%를 차지합니다.

 

수면무호흡의 원인을 살펴보면 수면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비만으로 인해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잇습니다.

 

 

 

출처. 중앙일보: 수면 무호흡증 원인…'수면 중 10초 이상 호흡 정지…'